인플레이션2 통화량(M2)이 많아지면 정말 인플레이션이 올까?|경제 흐름 이해 시리즈 2편 뉴스에서 통화량(M2)이 증가했다는 보도가 나오면, 많은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통화량이 늘었다고 해서 반드시 물가가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실제 데이터와 경제 이론을 바탕으로 풀어봅니다. 1. 통화량(M2)이란?통화량은 경제 내에 유통되는 돈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M2는 현금(M0)과 요구불예금(M1), 그리고 정기예금, 적금 등 단기 유동성 자산까지 포함한 개념으로, 일반적인 경제활동에서 사용 가능한 실질적인 통화 규모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한국은행이 매월 발표하는 '통화 및 유동성'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2025년 4월 기준 M2는 약 3,700조 원에 달합니다.2. M2가 늘어나면 왜 인플레이션이 우려될까.. 2025. 5. 30. 물가 상승기 대응하는 자산 전략|심화 재테크 전략 시리즈 4편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조용한 도둑입니다. 오늘 1만 원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내년에는 1만 1천 원이 될 수 있듯, 물가 상승은 자산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킵니다. 단순한 저축만으로는 자산을 지킬 수 없습니다. 물가 상승에 유리한 자산과 전략을 갖춰야 하는 이유입니다.1. 인플레이션의 실체와 영향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면 고정된 현금성 자산의 가치는 하락합니다. 특히 예적금, 현금 보유, 낮은 수익률 상품은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자산입니다.1% 금리 예금 → 4% 물가 상승 시 실질 손실 약 3%현금 보유는 심리적 안정감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자산 증식에는 독즉, ‘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수익률’이 인플레이션 방어의 기준입니다.2. 인플레이션 방어에 유리한 자산금: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2025. 5. 26. 이전 1 다음